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EFA)
ㅇ설문 연구 중 일반적인 통계 방법론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경우.
ㅇ우선, 표면타당성을 충족해야됨
- Adapt : 설문 문항 그대로 가져옴
- Adopt : 설문 문항을 가지고 오면서 연구에 맞게 조금 수정
-이 후 전문가 검증을 수행
※ Common Method Bias (동일방법편의)를 해결해야되는데, 동일방법편의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동일한 측정도구와 응답원에 의해 측정하였을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 해결 방법으로는 사전 방법으로 설문지 위치를 조정하거나 사후 방법으로는 변수들의 상관계수 파악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 (설문이 편향되게 됐을 경우가 있음)
ㅇ 표면타당성이 충족 됐다면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EFA)를 진행해야함
- 신뢰도 분석 : 크롬바 알파 0.7 이상. (이상치 살펴보고 제거 후에 진행하는게 좋음)
(신뢰도 : 측정대상을 반복적으로 측정해도 동일한 값을 얻는 정도, 일관성)
- 탐색적 요인분석 (EFA)
* 타당성 : 조사에서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했나
* 타당성은 내용타당성, 구성타당성으로 구성.
* 내용타당성은 전문가에게 검증 받는 것.
* 구성타당성은 또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으로 구성
* 집중타당성은 요인적재량(팩터로딩)이 커야 확보 (0.6~0.8보다 커야됨)
*판별타당성은 교차적재량(크로스로딩)이 작아야 확보 (0.4보다 작아야됨)
ㅇ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을 통해 요인(설문 문항)을 삭제하였다면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을 다시 처음부터 반복 후 검증해야됨.